문제
방향 없는 그래프가 주어졌을 때, 연결 요소 (Connected Component)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과 간선의 개수 M이 주어진다. (1 ≤ N ≤ 1,000, 0 ≤ M ≤ N×(N-1)/2)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간선의 양 끝점 u와 v가 주어진다. (1 ≤ u, v ≤ N, u ≠ v) 같은 간선은 한 번만 주어진다.
즉 첫째줄은 정점의 수, 간선의 수이고
둘째 줄은 각 점이다. 아래 예시에서 1 2가 이어져 있고 2 5가 이어져 있고 5 1이 이어져 있는 그래프이다. 이런식으로 이해.
또 3 4가 이어져 있고 4 6이 이어져 있는 상태이다.
따라서 연결요소의 개수가 2가 나오도록 코딩을 해야한다.
6 5
1 2
2 5
5 1
3 4
4 6
출력
첫째 줄에 연결 요소의 개수를 출력한다.
2
풀이
-연결 요소의 정의
정의만 봐서는 이해가 어려울 것이다. 아래 예시로 확인해보자.
노란색 연결요소, 초록색 연결요소가 존재한다.
따라서 연결요소의 개수는 2이다.
- 위 개념만 인지하고 DFS 탐색을 하면 문제는 비교적 쉽게 풀린다.
- BFS 방식도 가능
- DFS와 BFS 방식은 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정점들 사이만을 탐색할 수 있는 그래프 탐색 방법이기 때문에, 끊겨 있는 서로 다른 연결 요소들까지 탐색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.
cf) 인접행렬 개념
코드
public class Problem10 {
static int N; //정점의 개수
static int M; //간선의 개수
static int[][] adj; //2차원 배열인 인접 행렬
static boolean[] visit; //방문 여부
static int result = 0; //연결요소의 개수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canner scan = new Scanner(System.in);
N = scan.nextInt();
M = scan.nextInt();
adj = new int[N + 1][N + 1];
//인접행렬 입력
for(int i = 0; i< M; i++) {
int x = scan.nextInt();
int y = scan.nextInt();
adj[x][y] = 1;
adj[y][x] = 1;
}
visit = new boolean[N+1];
//방문 여부 배열을 돌면서 방문하지 않은 정점이 있으면 dfs 탐색을 시작하고 연결개수 1 증가시킨다.
for(int i = 1; i < N+1; i++) {
if(!visit[i]) {
dfs(i);
result++;
}
}
System.out.println(result);
}
private static void dfs(int fst) {
visit[fst] = true;
//연결되어 있는 곳이 있고 방문하지 않았다면 dfs 탐색
for(int i = 1; i <= N; i++) {
if(adj[fst][i] == 1 && !visit[i]) {
dfs(i);
}
}
}
}
'Computer Science > 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] 2941번: 크로아티아 알파벳_JAVA (0) | 2023.02.21 |
---|---|
[백준] 1987번: 알파벳_JAVA (0) | 2023.02.13 |
[백준] 4963번: 섬의 개수_JAVA (0) | 2023.02.13 |
[백준] 1182번: 부분수열의 합_JAVA (0) | 2023.02.06 |
[백준] 1018번: 체스판 다시 칠하기_JAVA (0) | 2023.02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