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hapter 06. The Memory Hierarchy(메모리 계층구조)
- 우리는 지금까지 메모리 시스템이 선형 배열이고 CPU가 각 메모리 위치에 바로 접근할 수 있다고 가정해왔다.
- 실제 메모리 시스템은 용량(capacity), 비용(costs), 접근시간(access time)을 갖는 저장장치들의 계층구조이다.
- CPU 레지스터는 가장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.
- 캐시메모리는 메인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 및 instruction에 대한 준비장소
- 메인메모리는 크고 느린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져다 씀.
- 아래 그림처럼 계층구조가 구성되어 있고 빈도, 속도, 가격, 용량이 각기 다르다.
- 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램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 구조를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.

- 낮은 단계의 저장공간(디스크 방향)일 수록 CPU cycle이 더 높아 속도가 느리다.
- 따라서 프로그래머는 CPU가 빨리 작동할 수 있도록 메모리가 상위 계층구조에서 작동하도록 프로그램을 작성해야한다.
- 이 개념은 'locality'라고 알려진 컴퓨터의 근본적인 특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.
- 앞으로 우리는 SRAM, DRAM, ROM, rotating and solid state disks, cache memory(프로그램 성능에 영향이 가장 큼)에 대해 알아보고 어떻게 해야 프로그램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알아볼 것이다.
'Computer Science > 컴퓨터 구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SAPP] 6.2 Locality(지역성) (0) | 2023.02.09 |
---|---|
[CSAPP] 6.1 Storage Technologies(저장장치 기술) (0) | 2023.02.09 |
[CSAPP] 5.13 Life in the Real World: Performance Improvement Techniques(실제상황: 성능개선 기술) (0) | 2023.02.08 |
[CSAPP] 5.12 Understanding Memory Performance(메모리 성능의 이해) (0) | 2023.02.08 |
[CSAPP] 5.11 Some Limiting Factors(일부 제한 요인들) (0) | 2023.02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