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제
4개의 기호 ‘(’, ‘)’, ‘[’, ‘]’를 이용해서 만들어지는 괄호열 중에서 올바른 괄호열이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.
- 한 쌍의 괄호로만 이루어진 ‘()’와 ‘[]’는 올바른 괄호열이다.
- 만일 X가 올바른 괄호열이면 ‘(X)’이나 ‘[X]’도 모두 올바른 괄호열이 된다.
- X와 Y 모두 올바른 괄호열이라면 이들을 결합한 XY도 올바른 괄호열이 된다.
예를 들어 ‘(()[[]])’나 ‘(())[][]’ 는 올바른 괄호열이지만 ‘([)]’ 나 ‘(()()[]’ 은 모두 올바른 괄호열이 아니다. 우리는 어떤 올바른 괄호열 X에 대하여 그 괄호열의 값(괄호값)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값(X)로 표시한다.
- ‘()’ 인 괄호열의 값은 2이다.
- ‘[]’ 인 괄호열의 값은 3이다.
- ‘(X)’ 의 괄호값은 2×값(X) 으로 계산된다.
- ‘[X]’ 의 괄호값은 3×값(X) 으로 계산된다.
- 올바른 괄호열 X와 Y가 결합된 XY의 괄호값은 값(XY)= 값(X)+값(Y) 로 계산된다.
예를 들어 ‘(()[[]])([])’ 의 괄호값을 구해보자. ‘()[[]]’ 의 괄호값이 2 + 3×3=11 이므로 ‘(()[[]])’의 괄호값은 2×11=22 이다. 그리고 ‘([])’의 값은 2×3=6 이므로 전체 괄호열의 값은 22 + 6 = 28 이다.
여러분이 풀어야 할 문제는 주어진 괄호열을 읽고 그 괄호값을 앞에서 정의한대로 계산하여 출력하는 것이다.
입력
첫째 줄에 괄호열을 나타내는 문자열(스트링)이 주어진다. 단 그 길이는 1 이상, 30 이하이다.
예제1
(()[[]])([])
예제2
(()[[]])([])
출력
첫째 줄에 그 괄호열의 값을 나타내는 정수를 출력한다. 만일 입력이 올바르지 못한 괄호열이면 반드시 0을 출력해야 한다.
예제1
28
예제2
0
풀이
- 주석에 풀이를 기술하였다.
코드
//황태진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canner scan = new Scanner(System.in);
String string = scan.next();
int mul = 1; //중간 연산 결과 값 저장
int result = 0; //결과 값 저장
Stack<Character> stack = new Stack<Character>(); //괄호의 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stack 자료구조 이용
for (int i = 0; i < string.length(); i++) {
switch (string.charAt(i)) {
// '('일 경우 ()이 2이므로 2를 중간 연산에 우선 곱해준다. 또한, 짝 여부르 판단하귀 위해 stack에 '('를 넣는다.
case '(':
stack.push('(');
mul *= 2;
break;
// '['일 경우 []이 3이므로 3를 중간 연산에 우선 곱해준다. 또한, 짝 여부르 판단하귀 위해 stack에 '['를 넣는다.
case '[':
stack.push('[');
mul *= 3;
break;
// stack에 '(' 짝이 있는 지 확인한다. stack이 비어있거나 '('이 없으면 잘못된 괄호식이기 때문에 결과를 0으로 두고 반복을 종료한다.
case ')':
if (stack.isEmpty() || stack.peek() != '(') {
result = 0;
break;
}
//문자열의 직전에 ')'의 짝인 '('이 있었다면 괄호는 독립적으로 완성되었고 규칙에 의해 더해주는 형태이므로 result에 먼저 더한다.
if (string.charAt(i - 1) == '(')
result += mul;
stack.pop(); //짝을 찾았으므로 stack에서 pop을 한다.
mul /= 2; //괄호가 완성되엇으므로 2로 나눈다.
break;
// stack에 '[' 짝이 있는 지 확인한다. stack이 비어있거나 '['이 없으면 잘못된 괄호식이기 때문에 결과를 0으로 두고 반복을 종료한다.
case ']':
if (stack.isEmpty() || stack.peek() != '[') {
result = 0;
break;
}
//문자열의 직전에 ']'의 짝인 '['이 있었다면 괄호는 독립적으로 완성되었고 규칙에 의해 더해주는 형태이므로 result에 먼저 더한다.
if (string.charAt(i - 1) == '[')
result += mul;
stack.pop(); //짝을 찾았으므로 stack에서 pop을 한다.
mul /= 3; //괄호가 완성되엇으므로 3로 나눈다.
break;
}
}
//결과 출력. 스택이 비어있지 않다면 괄호가 완성되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잘못된 괄호 구조이므로 0 출력.
if(!stack.isEmpty())
System.out.println(0);
else
System.out.println(result);
}
'Computer Science > 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] 1946번: 신입사원_JAVA (0) | 2023.03.06 |
---|---|
[백준] 1764번: 듣보잡_JAVA (0) | 2023.03.06 |
[백준] 2941번: 크로아티아 알파벳_JAVA (0) | 2023.02.21 |
[백준] 1987번: 알파벳_JAVA (0) | 2023.02.13 |
[백준] 11724번: 연결 요소의 개수_JAVA (0) | 2023.02.13 |